홉하우스 2015,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서양 정원사 해설
샌프란시스코의 그리어 정원, 519쪽 그림 10.35
홉하우스 여사가 519쪽에서 마지막으로 소개하는 정원이다. 20세기 정원사들은 지난 수세기 동안 식물 수집가들이 모아들인 식물을 가꾸고 재배하느라 행복하기도 했지만, 고생도 많았다. 또한 그 많은 식물 중 적당한 것을 선발하여 심어야 하는 설계자들의 고충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마지막 쳅터에서 홉하우스 여사는 실제 정원을 사례로 들어 어떤 식물을 어떤 방식으로 심어 왔는지 알려준다. 일종의 식물적용학 개론이라고 보면 되겠다. 마지막으로 소개하는 정원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북쪽에 있는 ‘그리어Grier’ 가족의 개인 정원이다. 건조한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 식물들을 선발하여 심은 모양이다. 약 2헥타르의 규모이니 개인 정원으로는 꽤 큰 편이다. 누가 설계했는지, 식재는 누가 했는지 등이 궁금하여 열심히 찾아보았으나 자료가 그리 많지 않다.
아래 홉하우스 여사의 설명을 그대로 인용했다.
샌프란시스코 북쪽 라파예트Lafayette에 있는 그리어Grier 정원에서는 그 지역의 자생 식물들이 식재의 대부분을 이룬다. 미국 동부 해안에서 자라는 붉은 줄기의 미국 층층나무Cornus stolonifera 사이로 푸른색 꽃이 피는 다양한 갈매나무 속과 흰색 세아노투스 티르시프로루스Ceanothus thyrsiflorus ‘Snow Flurry’, 그 아래에 심은 키 작은 바카리스 필루라리스Baccharis pilularis가 보인다. 미국층층나무는 계절의 후반기에 잎이 나온다. 서부의 자생종 식물 정원은 일 년 내내 효과를 유지하는 경우가 드물고, 많은 정원에서 물 절약이 필수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갈매나무 속, 회색 잎사귀의 메밀Eriogoron arborescens, 아르크토스타필로스Arctostaphyllos, 바카리스를 보충하기 위해 비슷한 환경에서 자라는 지중해 식물들이 사용된다.
홉하우스 2015,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서양 정원사, 도서출판 대가 519쪽, 그림 10.35
자생식물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식재한 모범 사례로 이 정원을 소개하고 있다. 정원이 위치한 지역의 자생 식물을 주로 쓰면 당연히 관리도 수월하고 주변 환경과도 어우러지는 정원을 만들 수 있다. 캘리포니아는 식물 생장 환경이 좋은 편이지만 건조한 것이 문제가 된다. 관수를 심하게 해야 하는 식물을 피하는 것이 유리함은 당연할 것이다.
찾아 보니 이 정원이 소개된 유일한 책이 Lowry, Judith Larner 가 쓴 Gardening with a wild heart – Restoring California’s native landscapes at home이다. 1999년 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에서 나왔다. 사진은 바로 그 책 99쪽에서 스캔한 것.
정원디자인은 Ron Lutsko Jr. 가 맡았다고 한다. 당시 Ron Lutsko Jr.는 데이비스 컬리지 환경 원예학부를 막 졸업한 신예 식물 디자이너였다. 아마도 그의 최초의 프로젝트가 아니었을까 여긴다. 최초 프로젝트에 이만한 솜씨를 보인 걸 보니 식물에 대한 조예가 매우 깊은 것 같다. 그는 1981년 Lutsko Associates라는 설계회사를 설립한다. 주로 자생 식물을 이용한 생태 조경 전문 회사로서 그새 많은 프로젝트를 구현하고 상도 많이 받았다.
정원을 만들고 10년이 지난 뒤 1988년, Pacific Horticulture라는 잡지에 그리어 정원의 설계와 식재 개념을 상세히 설명했다(아래 참고 문헌 2 참조). 1988년 잡지라 절판되어 구매가 불가하지만, 그때 발표한 글을 온라인으로 읽을 수 있다. 사진도 여러 장 있으니 식물 디자인에 관심을 두는 독자라면 한 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너무 오래된 프로젝트여서인지 설계자의 홈페이지에서도 소개하고 있지 않다.

참고 문헌
- Lowry, J. L. (1999), Gardening with a Wild Heart. Restoring California’s Native Landscapes at Hom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Lutsko, Ron (1988), “Designing a Garden of Native Plants”. Pacific Horticulture (Vol. 49 / No. 02). Online ⇒.
Lutsco Associates Web ⇒
© 고정희의 홉하우스 읽기